티스토리 뷰
반응형
2025년도에 시행되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가 동절기 동안 난방용 가스를 절약하면, 절감량에 따라 현금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. 이를 통해 가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, 가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1. 제도 개요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.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동절기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% 이상 절약하면, 그에 해당하는 절감량을 기준으로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지원 대상
- 대상: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 (개별난방/중앙난방 모두 해당)
- 비교 대상: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사용량을 전년도 동기간과 비교하여 절감한 가구
지원 내용
- 지원금액: 전년 동기간 대비 3% 이상 절감 시, 절감량에 따라 캐시백이 지급됩니다.
- 3% 이상 10% 미만 절감: 50원/㎥
- 10% 이상 20% 미만 절감: 100원/㎥
- 20% 이상 30% 이하 절감: 200원/㎥
절감 기간
-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
- 고지서 발행 기준으로 2025년 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지급
신청 기간
- 2024년 12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.
2. 신청 방법
- 회원가입 및 인증:
-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본인 인증을 완료합니다.
-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홈페이지
- 사용량 조회 및 신청:
- 도시가스사별 고객식별번호를 입력하여 2024년과 2025년의 사용량을 조회합니다.
- 조회한 사용량을 기준으로 절감 여부를 확인하고, 절감 노력 사항을 입력한 뒤 신청을 완료합니다.
- 인증 및 확인:
- 신청이 완료되면, 절감량에 따라 캐시백이 지급됩니다.
- 신청자는 지급일정을 확인하여 캐시백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
3. 캐시백 지급 기준
- 절감율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- 3% 이상 10% 미만 절감 시 50원/㎥
- 10% 이상 20% 미만 절감 시 100원/㎥
- 20% 이상 30% 이하 절감 시 200원/㎥
예시:
- 전년도 사용량 100㎥, 올해 사용량 90㎥
- 10% 절감 시, 10㎥ * 100원 = 1,000원 캐시백
- 전년도 사용량 100㎥, 올해 사용량 70㎥
- 30% 절감 시, 30㎥ * 200원 = 6,000원 캐시백
4. 사용 제한 사항
- 불가능한 업종: 일부 업종에서 캐시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예를 들어, 일반 주점, 주류 판매점, 성인용품점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.
- 다른 신청자: 신청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를 경우,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해야 하며,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캐시백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5. 문의처
-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: www.k-gascashback.or.kr
- 고객센터: 120
- 거주지 행정복지센터: 해당 동 행정복지센터로 문의
6. 도시가스 절약을 위한 팁
- 실내 온도 조절: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, 필요 없는 방은 난방을 끄는 습관을 기릅니다.
- 에너지 효율적인 기기 사용: 최신형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보일러나 난방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창문 틈새 차단: 창문 틈새나 문틈을 막아 열 손실을 줄여 주세요.
7. 2025년도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의 혜택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, 난방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. 절감률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현금을 통해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, 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경제복지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후동행카드/할인혜택 2025 (2) | 2025.01.30 |
---|---|
내일배움카드/2025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| 2025.01.30 |
#2025년 최저임금에 대한 모든 것# (1) | 2025.01.30 |
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/시기 및 조건 총정리 (3) | 2025.01.30 |
K패스(K-Pass), 교통카드 환급 총 정리# (4) | 2025.01.29 |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