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2025년도에 시행되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가 동절기 동안 난방용 가스를 절약하면, 절감량에 따라 현금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. 이를 통해 가정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, 가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1. 제도 개요
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. 2025년 1월부터 3월까지 동절기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% 이상 절약하면, 그에 해당하는 절감량을 기준으로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지원 대상

  • 대상: 주택난방용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구 (개별난방/중앙난방 모두 해당)
  • 비교 대상: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의 사용량을 전년도 동기간과 비교하여 절감한 가구

지원 내용

  • 지원금액: 전년 동기간 대비 3% 이상 절감 시, 절감량에 따라 캐시백이 지급됩니다.
    • 3% 이상 10% 미만 절감: 50원/㎥
    • 10% 이상 20% 미만 절감: 100원/㎥
    • 20% 이상 30% 이하 절감: 200원/㎥

절감 기간

  • 2024년 12월부터 2025년 3월까지
    • 고지서 발행 기준으로 2025년 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지급

신청 기간

  • 2024년 12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.

2. 신청 방법

  1. 회원가입 및 인증:
  2. 사용량 조회 및 신청:
    • 도시가스사별 고객식별번호를 입력하여 2024년과 2025년의 사용량을 조회합니다.
    • 조회한 사용량을 기준으로 절감 여부를 확인하고, 절감 노력 사항을 입력한 뒤 신청을 완료합니다.
  3. 인증 및 확인:
    • 신청이 완료되면, 절감량에 따라 캐시백이 지급됩니다.
    • 신청자는 지급일정을 확인하여 캐시백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3. 캐시백 지급 기준

  • 절감율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.
    • 3% 이상 10% 미만 절감 시 50원/㎥
    • 10% 이상 20% 미만 절감 시 100원/㎥
    • 20% 이상 30% 이하 절감 시 200원/㎥

예시:

  • 전년도 사용량 100㎥, 올해 사용량 90㎥
    • 10% 절감 시, 10㎥ * 100원 = 1,000원 캐시백
  • 전년도 사용량 100㎥, 올해 사용량 70㎥
    • 30% 절감 시, 30㎥ * 200원 = 6,000원 캐시백

4. 사용 제한 사항

  • 불가능한 업종: 일부 업종에서 캐시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예를 들어, 일반 주점, 주류 판매점, 성인용품점 등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.
  • 다른 신청자: 신청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를 경우, 계약자 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해야 하며,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캐시백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5. 문의처

  •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공식 홈페이지: www.k-gascashback.or.kr
  • 고객센터: 120
  • 거주지 행정복지센터: 해당 동 행정복지센터로 문의

6. 도시가스 절약을 위한 팁

  • 실내 온도 조절: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, 필요 없는 방은 난방을 끄는 습관을 기릅니다.
  • 에너지 효율적인 기기 사용: 최신형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보일러나 난방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창문 틈새 차단: 창문 틈새나 문틈을 막아 열 손실을 줄여 주세요.

7. 2025년도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의 혜택

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는 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, 난방비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. 절감률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현금을 통해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, 환경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 

반응형
반응형